안녕하세요 20대 길라잡이입니다 2025년 4월 11일 금요일, 오늘 국내 증시는 미국과 중국 간 무역 갈등 격화라는 글로벌 리스크 속에서도 혼조세를 보였습니다. 코스피는 장중 낙폭을 줄이며 보합권에서 마감했고, 코스닥은 이틀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습니다.
📉 코스피 지수, 낙폭 축소하며 방어
- 종가: 2,432.72포인트 (+0.5%)
- 장중 저점: 2,394.25포인트 (-2% 이상 하락)
- 외국인 순매도: 약 6,895억 원
- 기관 순매수: 약 1,308억 원
- 개인 순매수: 약 4,300억 원
장 초반 코스피 지수는 미국의 관세 인상 가능성이 부각되며 2% 가까이 급락했지만, 오후 들어 낙폭을 빠르게 줄이며 2,430선을 회복했습니다. 외국인은 현물과 선물 시장에서 약 1조 1,500억 원 규모의 대규모 매도세를 보였고, 이는 지수 하락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했습니다.
📈 코스닥, 외국인 매수 전환에 2% 상승
- 종가: 695.59포인트 (+2.02%)
- 외국인 순매수: 약 261억 원
- 기관 순매수: 약 145억 원
코스닥은 이틀 연속 상승세를 기록했습니다. 특히 바이오와 로봇 관련 테마주의 강세가 두드러졌습니다.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매수세가 유입되며 지수는 700포인트 재돌파를 눈앞에 두고 있습니다.
🔍 외국인·기관 수급 동향
- 외국인 매도 주요 섹터: 전기전자(4,500억 원 이상), 금융, 운송장비
- 기관 매수 주요 섹터: 운송장비(476억 원), 금융(497억 원)
외국인은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대형 반도체 종목에서 매도 우위를 보였으며, 이는 지수 하락 압력으로 작용했습니다. 반면 기관은 운송 장비와 금융 섹터에 대한 매수를 확대하며 시장을 일부 방어했습니다.
🚘 자동차·철강 약세, 🚢 조선주 강세
- 현대차: -5.08%
- 기아: -7.03%
- 삼성중공업, 현대중공업, 하나오션: 급등
자동차주는 미국의 25% 관세 부과가 철강과 함께 그대로 유지될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급락했습니다. 반면, 조선주는 미국 정부가 자국 조선업 재건을 위해 우방국의 선박을 구매할 수 있다는 발언에 따라 급등세를 보였습니다.
💡 주목할 업종별 흐름
- 기계 장비: +4.24% 상승
- 서비스 업종: +1.39% 상승 (네이버, 카카오 중심)
- 전기전자: -1.89% 하락
업종별로는 조선업종이 포함된 기계 장비 섹터가 가장 큰 상승폭을 보였으며, 인터넷 플랫폼 관련주들도 시장 강세에 일조했습니다. 반면, 반도체가 포함된 전기전자 업종은 약세를 면치 못했습니다.
🌏 아시아·미국·유럽 증시 동향
아시아 증시
- 일본 닛케이: -2.96%
- 대만 가권지수: +2.78%
- 홍콩 항셍지수: +1.74%
- 상해 종합지수: +1.4%
관세 우려에도 불구하고 중국과 대만, 홍콩 증시는 강세를 보인 반면, 일본 증시는 급락세를 나타냈습니다.
미국 증시 (간밤 마감)
- 다우존스: -2.5%
- 나스닥: -4.31%
- S&P 500: -3.46%
전일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유예 소식에 폭등했던 미국 증시는 하루 만에 관세율 상향 조정 소식에 급락했습니다. 투자자 심리는 다시 위축됐으며, 기술주 중심으로 낙폭이 컸습니다.
유럽 증시
- 독일 DAX: -1.74%
- 프랑스 CAC: -0.9%
- 영국 FTSE: +0.4%
유럽 주요국 증시는 혼조세를 보였으며, 관세 리스크와 글로벌 경기 둔화 우려가 혼합된 흐름을 보였습니다.
🧮 미국 경제 지표 & 시장 해석
미국의 3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년 동기 대비 2.4% 상승으로, 예상치보다 낮고 4년 내 최저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그러나 무역 갈등 장기화에 따른 경기 침체 우려를 상쇄하기에는 역부족이라는 평가입니다.
투자자들의 관심은 현재 물가보다는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에 쏠려 있으며, 이에 따라 향후 글로벌 증시가 민감하게 반응할 것으로 보입니다.
📌 마무리 및 시사점
- 코스피는 외국인 대규모 매도 속에서도 하락폭을 축소하며 선방
- 코스닥은 바이오 및 로봇 테마 중심으로 이틀 연속 상승
- 미중 관세 갈등은 여전히 리스크 요인, 향후 시장 방향성에 중요한 변수
- 관세 관련 뉴스에 따라 글로벌 증시 변동성 확대 가능성 상존
전반적으로 증시는 혼란스러운 글로벌 이슈 속에서 수급에 따라 출렁이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시장에서는 테마주 중심의 단기 흐름에 휘둘리기보다는, 기본적인 시장 원칙과 흐름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오늘의 증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의 증시] 📈 코스피 2,500선 회복, 기관 매수의 힘 2025년 4월 23일 (3) | 2025.04.23 |
---|---|
[오늘의 증시] 2025년 4월 14일 미중 무역 완화 기대감에 증시 반등…삼성전자 외국인 매수세 전환! (3) | 2025.04.14 |
[오늘의 증시] 2025년 4월 10일 트럼프 관세 유예 발표 이후 증시 폭등! 개인 투자자는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 (4) | 2025.04.10 |
[오늘의 증시] 2025년 4월 8일 오늘 국내외 증시 흐름과 투자 전략, 지금 매수 타이밍일까? 📉📈 (5) | 2025.04.09 |
[오늘의 증시] 2025년 4월 7일 블랙 먼데이...글로벌 증시 패닉 상태 (6) | 2025.04.07 |